6/16일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에 대해서 기획재정부에서 발표되었다. 많은 내용 중에 부동산 관련 해당 내용만 발췌하였다. 해당 부분 대해서 알아보자.

1. 새정부 경제정책 방향 원문(부동산 관련)









2. 세부내용 분석
▷ 세재개편
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배제 (1년)
, '22년 5월 20일 소급적용
-> 다주택자들 세금 완화 매물 유도 정책
2) 일시적2 주택 기존주택
처분기간 1년 -> 2년으로 확대
-> 전정부의 일시적 2주택 처분기간을 1년으로 바꾼 것을 2년으로 하면서
주거이동에 대한 자유를 조금 더 주었음.
대부분 1년 안에 옮기기에는 사실 임차계약이 이미 되어있으면 거의 불가능한 조건이었기에, 비과세를 못 받게 하는 정책이 정상화됨
3) 보유세 경감
-. 재산세는 1세대 1 주택자 공정시장가액비율을
60%-> 45%로 하양 조정
-> 급격히 오른 집값으로 재산세를 많이 부담해야
하는 부분을 하향 조정하여 세부담 완화
-. 종부세 관련 공정시장가 약비율을
100% -> 60%로 햐향조정
-> 종부세 비율을 완화하여 세금 부담 완화
-. 1세대 1 주택자의 경우 과세기준 금액이
11억에서 ->14억으로 확대되는 효과
('22년 한시로 특별공제 3억 도입)
▷ 금융 지원
1) 생애최초 LTV 상한을 지역, 주택 가격, 소득에 상관없이 80%로 완화
대출한도 4억 -> 6억으로 확대('22.3/4)
2) DRS산정 시에 장래 소득 반영방식 개선
대출 만기 시까지의 연령대별 소득흐름의 평균으로 미래 희망치 까지 대출 반영
3) 차주 단계 DSR3단계 7월 1일부 실행으로 실수요자 생활자금 규제 완화
고금리,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저금리, 고정금리로 대환 확대
초기 한정된 규모로 조기 마감 예상
▷ 임대차 시장
1) 공공임대 3만 호, 1만 호, 2만 호 등을 적기 공급
2) '22년 8월 계약갱신권 소진 순차 도래 시점 이전 전월세 시장 안정화 대응 마련 ('22년 6월 차주 예상)

3. 정책 방향 의견
이번 정부 들어서 부동산 정권이 교체되는 가장 큰 원동력이 바로 부동산 폭등과 과도한 세금 부과였다.
여러 가지 정책 중에 부동산과 관련된 부분 민생에 대해서 크게 나와있다.
큰 맥락은 세재 완화로 시장이 비정상에서 민간주도의 정상화 방향을 계속 유도하고 있다. 아직까지 이전 정부에서
망쳐버린 정책을 전면 폐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임대 3 법이라던지, DSR 규제 등 아직까지는 잘못 풀었다가
다기 화살을 맞기에 관망하는 중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큰 기조는 민간주도 방법과 시장의 경제원리에 맡긴다는 부분은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 것 같다. 아직 시장에서는
부동산이 정상화되기에는 좀 시간이 걸릴 것 같다. 현재 중과 배제, 금리인상 등 부동산 시장이 급격하게 올라갈 일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수도권이 계속 공급이 부족하면 계속 문제가 될 수 있기에 빠른 3시 긴 도시, 서울의 재건축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원문 내용 첨부 2건
# 참고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 발표
https://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650026
새정부 경제정책방향 발표···"민간·시장 주도 경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 발표···"민간·시장 주도 경제"
www.ktv.go.kr
# 해당 블로그는 부동산 및 재테크 채널로 개인적인 문의나 상담은 댓글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공감과 댓글, 구독은 저에게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
# 부동산 초보자분들에 유익한 전자책도 발행하였으니 필요하시면 참고 바랍니다.
https://kmong.com/gig/368534
부동산 추월차선 부린이도 투자 성공할수있는 방법 알려드 드립니다. | 11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18개 총 작업 개수 완료한 총 평점 5점인 Hman의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서비스를 16개의 리뷰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전자책, 투잡·재테크 전자책 제공 등 11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서비스
kmong.com
'부동산 > 부동산 정책자료(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30 부동산 정책(정책원문)_지방 투기과열지구 해제 등 규제지역 조정 (24) | 2022.07.01 |
---|---|
6.21 부동산 정책(정책원문)_임대차 시장 안정화 (20) | 2022.06.21 |
새정부 경제정책방향(부동산관련)_6/16일 기획재정부 (40) | 2022.06.17 |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부동산) (35) | 2022.05.05 |
2040 서울플랜 (오세훈 시장 서울기본계획) (58) | 2022.03.05 |
GTX-C 노선 4개역 추가(왕십리,인덕원,의왕,상록수역 신설) (47) | 2022.02.25 |
확실히 정책에 의한 시장보다는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장 원리가 더 잘 작동하는 시장으로 가는 방향입니다 ^^
답글
네 좋은방향의 결과 기대됩니다^^감사합니다.
새로운 정책 방향만큼 좋은 결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답글
네 앞으로의 방향한번같이 지켜보시죠~^^
포스팅잘보고 갑니다
언제나 감사하고,
언제나 기뻐하고
만나는 사람마다 웃음꽃을 전하는
내 생애 가장 기쁜 날이 오늘이게 하소서!
휴일 주말 잘보내세요 ^^
답글
방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재건축 가보쥬아!!! 여러몀으오 살기 더 편해졋으며 ㅜㅜㅠㅠ
답글
네 잘풀리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오랜만애 와서 또 좋은 인사이트 얻어갑니다! ㅎ
전 최근 변화가 많이 생겨서 정신없는 나날들이네요! ㅎㅎㅎ
앞으로 다시 자주 찾아뵐게요~^^
답글
sharklet님의 인사이트는 이미 있으시잖아요ㅎ 바쁜 한주시작하시게 주말 푹쉬세요. 감사합니다
정보 잘 보고 얻어 갑니다
답글
방문감사합니다~
정책이 좋은 방향으로 발전 되었으면 합니다.
답글
네 앞으로의 방향성 한번봐야하겠어요. 감사합니다^^
포스팅 잘 보고가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답글
방문감사합니다^^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금리인상 ,러시아발 원자재 폭등이 장기화 될것같아요.방문 감사합니다~
부동산에 거품이 많이 꼈는데 버블이 가라앉게되면 또다른 정책피해자가 발생할겁니다~부동산정책은 정말 장기적으로 봐야하는데~~참~~어찌될지~~좋은글 잘보고 갑니다~^^낼은 월요일이네요. 한주의시작 잘하시고, 월요병이런거 없으시길 응원합니다~~내일부터 즐거운일만 있는 한주되시길~하트 꾹눌러드리고용~ 자주찾아뵐께용~~^^
답글
네 장기적으로보아야합니다. 감사합니다~
과연 효과가 있을지 궁금하긴하네요
답글
부동산 관련 단어는 더 어려운데 이런 지침 바뀔때마다 공부 하고 숙지 하는 일도 참 보통일은 아닌거 같아요~ 잘 같이 공부 하고 따라가 보겠습니당~ 이번주도 화이팅 하세요 💪🏾😁😁
답글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에 대해 한번 쭉 읽어보고 갑니닷 :)
답글
언제나 방문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부동산 정책에 눈이 많이 가더라구요
좋은 결과로 나오길!!
답글
항상 방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민들을 위한 정책일지
기다려봐야겠네요 ㅎㅎ
잘 보고 갑니다^^
답글
서민위한 정책 빨리계속나오면좋겠어요.감사합니다~
도움이 되는 정책이 많이 나와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답글
네 도움되면좋겠군요.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와! 참고 자료와 함께 보니까 더욱 좋은 포스팅이었습니다
답글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여러가지로 기대가 큽니다.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