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보는 유튜브 채널이 나의 주관심사인 부동산과 재테크 관련이다. 그중에서 보다가 참 웃픈 영상을 보게 되었다.
그 영상은 입담이 좋고, 또 악플에 대해서 별로 신경 안 쓰는 부동산 유투버의 '숙주나물의 싸이다 머니 '이다. 그 내용에 대해서 오늘 소개하려고 한다.
하락론자의 부동산 유튜버 ' 라이트하우스'
부동산 채널도 보면 참 유익한 영상도 있고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 채널이 있다. 본인이 돈을 벌고 싶으면 돈을 번 사람들의 얘기를 듣고 또 그것을 어떻게 따라 해야 아는지를 배워야 한다. 전 국토부 빵집 현미 아줌마의 좋아하는 라이트 하우스 이런 걸 들어봐야 아무 도움이 안 된다. 하락론자의 유튜브를 구독에 가입까지 하면서 시청자들이 얻은 이익은 무엇일까?? 아파트가 하락한다고 전부 안 사다가 몇 년 만에 벼락 거지가 되버린 사람들이 주위에 아주 많을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riAoG/btq873G3Ih0/NigyM7puv2sEPhIAT6FUz0/img.png)
하락론자로 유명한 라이트하우스의 채널의 동영상들이다. 동영상 썸네일 내용이 자극적이다. 이분은 부동산계의 펠레와 같다. 찍으면 전부 반대로 된다. 하나같이 맞은게 없다. 그런 게 여기 구독자들은 이제 맞고 안 맞고가 아니라서 그냥
종교처럼 신앙으로 이 현실에 대해서 부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난 이런 부동산 채널은 한 번씩 중립적은 의견을 듣고자참고해봤는데 진짜 들을 가치가 없었다.
비정상적인 사고가 정상이 되버린 세상
부자가 되고 싶으면 진짜 항상 긍정적인 마인드가 중요한다. 돈을 벌 수 있다고 투자하고 또 연구하지 돈을 잃을꺼라고 공부를 할꺼면 왜 공부하는지를 모르겠다. 그래서 이번에 부동산 채널에서 본 현실을 꼬집어본 웃픈현상 본소개하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syqVR/btq873mLvOP/6urk5B9EyFNVTTzCADJ2J1/img.png)
여기서 세입자로 살면 1억 2천을 벌수 있다는 영상을 보면 이렇게 나온다. 최근 임대차 3 법의 부작용을 역으로 이용하는머리 좋은 세입자들이 많다. 악법도 법이기에 현재는 지켜야 한다. 계약 갱신권이 생기면서 임대인들은 세금 때문에
정해진 시기에 팔아야하는데, 그걸 못하게 법으로 막았고, 임대료 인상도 임대사업자도 아닌데 5%로 제한이 생겼다.
본인집을본인사정에의해서팔아하는데 소급적용시킨 계약 갱신 법으로 이렇게 임대인을 괴롭히니 이런 웃픈 사태가 생긴다. 아주 대표적인 사례로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의왕에 본인 집을 세입자에게 위로금을 주고 나가라고 한 사례이다.
한나라의 총리도 말도 안되는 법에 본인도 걸려 넘어지는데, 우리 같은 서민이라도 별수 있을까 그러니 아래와 같은사례가 발생하는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GZpJT/btq85lBx8A1/EHq5mBg372dPVi4UrCv7nK/img.png)
지금은 이런 말도 안되는 사건이 무려 합법이다. 그렇기에 현재는 주택시장이 임대인과 임차인을 두뇌 싸움이 시작 중이다. 나는 투자의 극대화를 위해서 예전부터 주거와 투자를 분리하였다. 그래서 임대인이기도 하지만 또 임차인이기도 하다. 양쪽에 해당하기에 나도 계속 임대인과 머리싸움을 한다. 싸게 좋은 집을 더 살고 남은 금액을 최대한 투자에 써야 하기에 이건 물러설 수 없는 싸움이다. 삶의 터전을 지켜야 한다.
하지만 진짜 임차인으로만 산다면 이희한 사태가 그렇게 유괘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비정상적인 현실을 계속 합법화할 때는 거기에 따르는 부작용은 결론은 임차인이 질 수밖에 없다. 조세의 전과, 이건 조선시대에도 똑같았다. 이런 꼼수를 쓰자는 의견보다는 나는 빨리 정상적인 부동산 시장이 되면 좋겠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렇게 하루 아침에 해결될일을!! 은마아파트 전세 쏟아졌다. (45) | 2021.07.22 |
---|---|
전셋값 다 올려놓고 재건축 2년 실거주 의무, 결국 "도입 안한다" (49) | 2021.07.13 |
집값 올해 6개월 상승분 지난해 1년치 넘었다 (66) | 2021.07.05 |
미국의 집값도 폭등중(feat. Financial Times) (59) | 2021.07.02 |
전세난민으로 시작된 전세급등 매매급등 (20) | 2021.06.25 |
댓글